과거 노근리 학살사건을 범위를 넘어 그 희생의 의미와 가치를 알아갑니다.
한국전쟁 당시 미군의 양민학살과 1991년 한국사회를 뒤흔들던 5월 투쟁. 최근 나온 두 권의 책은 우리의 역사에 제대로 등재되지 못했던 두 사건들의 성격을 규명하고 적극적으로 복권시키려는 시도다. 이 책들은 읽는 이들로 하여금 “거짓을 거짓으로, 비극을 비극으로, 진실을 진실로 정직하게 기억해내고 그 기억을 역사 속에 생환시켜내는 일”이 바로 지금 필요함을 상기시켜준다.
<노근리 사건의 진상과 교훈>(정구도 엮음, 두남 펴냄)은 99년 AP 통신의 보도 이전에 이미 노근리사건에 대한 최초의 역사학 논문을 내놨던 정구도 노근리사건 대책위 대변인이 엮었다. 1950년 7월29일 아침, 충북 영동군 황간면 노근리 앞 터널, 즐비한 시체들. 미군은 터널 안에다 총탄을 난사했고 미군이 쫓기듯 사라진 뒤 생존자들은 대충 시신을 확인하여 장사를 치렀다. 48년이 흐른 뒤에야 이들은 합동위령제를 지냈다. 노근리 학살사건의 국제법적 성격을 다룬 논문은 미군의 행위가 제네바 협약의 중대한 위반행위이자, 민간인 무차별 공격을 금지한 헤이그법의 원칙을 위반한 전쟁범죄라고 규정한다. 또 이 책은 노근리 사건을 `학살사건"이라 규정하지 않은 점, 사격명령의 존재여부에 대해 확정적 결론을 내리지 않은 점 등을 한국정부의 조사결과 보고서와 한미 공동발표문의 공통된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클린턴 대통령의 성명서, 한·미 공동발표문 등 관련자료들을 덧붙였다. 50년 만에 세상에 드러났지만 `노근리"는 여전히 미결상태다.
그러나 지난밤 꿈속에서 이 친구들이 나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소리가 들려왔다 1991년 5월>(91년 5월투쟁 청년모임 엮음, 이후 펴냄)은 역사로서도 평가받지 못하고 사람들의 기억에서도 사라진 91년 5월투쟁의 의미와 그것이 남긴 상처를 전해준다. 91년 4월26일 강경대의 죽음으로부터 6월29일까지, 87년 이래 최대의 인파를 모으며 전개된 투쟁은 유서대필 조작사건과 정원식 총리 계란세례 해프닝으로 단번에 뒤집힌다.
조현연 성공회대 교수는 “87년 6월항쟁 이후 점차 망각되고 있던 국가권력의 폭력성이 91년 5월투쟁이라는 사건에서 다시 전면에 드러났다”고 강조한다. 또 그런 망각은 국가폭력에 대한 `사회적 침묵의 카르텔"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사회적 침묵 속에서 운동권은 `좌경 용공 극렬 폭력"을 넘어 `반도덕 반인륜"의 상징으로 신속하게 고정돼 버렸다는 것이다. 자신들의 고통스런 기억을 털어놓은 젊은 연구자들은 이 책이 91년 5월투쟁에 관한 사회적인 치유과정이 되길 바랐다.
김영희 기자
민원도우미
민원도우미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는 맞춤형 검색 서비스교육정보안내
교육정보안내다양한 교육정보를 한눈에! 영동 교육정보 안내입니다.전체
정보화교육
평생학습교육
여성회관교육
등록된 교육정보가 없습니다.
농업교육
등록된 교육정보가 없습니다.
홈페이지바로가기
홈페이지 바로가기영동군 홈페이지를 한번에 바로갈수 있는 바로가기 정보 서비스영동군홈페이지
관과 및 사업소
유관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