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노근리 학살사건을 범위를 넘어 그 희생의 의미와 가치를 알아갑니다.
“노근리사건 특별법 개정하자”…여야의원 24명 참여
희생자·유족 보상금 지급근거 마련…노근리 트라우마 치유센터 설치 등
[굿모닝충청 김종혁 기자] ‘70년의 아픔’ 충북 영동군 노근리사건의 아픔을 치유하기 위한 ‘노근리특별법’ 전부개정안이 발의됐다.
이번 개정안에는 대표 발의한 이장섭 의원을 비롯해 강민정, 강훈식, 김승원, 김영배, 김용판, 도종환, 박광온, 박덕흠, 변재일, 소병철, 신영대, 양정숙, 엄태영, 오영훈, 윤영찬, 이규민, 이병훈, 이용선, 인재근, 임호선, 조수진, 한병도, 홍성국 의원등 여야의원 24명이 참여했다.
노근리특별법 전부개정법률안의 주요내용은 ▲‘노근리사건 희생자의 명예회복 및 보상 등에 관한 특별법’으로 법률 제명 변경 ▲‘노근리사건희생자심사및명예회복위원회’심의·의결 사항에 희생자 및 그 유족에 대한 보상금 지급 근거 마련 ▲희생자 및 유족으로 결정된 사람에 대한 보상금 지급 ▲희생자 및 유족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노근리 트라우마 치유센터’설치 및 운영을 골자로 한다.
노근리사건은 한국전쟁 초기인 1950년 7월 25일부터 7월 29일까지 충북 영동군 황간면 노근리 경부선 철로와 쌍굴다리에서 미군이 무저항, 무방비 상태의 민간인들을 총격으로 살해한 사건이다. 이 사건은 반세기에 걸쳐 유족들의 끈질긴 진상규명 노력으로 진실과 실체가 세상에 알려졌다.
국회는 2004년 노근리사건의 진상을 규명하고 희생자와 그 유족의 명예를 회복하는 법안인 ‘노근리사건 특별법’을 국회 본회의에 참여한 국회의원 169명 전원의 찬성으로 법안을 통과시켰다.
‘노근리사건 특별법’에 따라 226명(사망자 150명, 행방불명자 13명, 후유장애자 63명)의 희생자 심사 결정과 희생자를 기리는 추모 사업을 지원하는 근거를 마련했지만 희생자와 유족들에 대한 보상 근거조항이 포함되지 않아 실효성 있는 피해회복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이장섭 의원은 “노근리사건의 희생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조치가 조속히 시행될 필요성이 있으나 현행법에는 법적 근거가 없는 실정이다”며 “70년 가까이 고통 받고 있는 이들의 진정한 명예회복을 위해서라도 이번 개정안이 반드시 국회를 통과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이어 “보상과 함께 노근리사건으로 인한 신체적·정신적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노근리트라우마 치유센터를 설립하는 등 정부의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내용도 포함했다”고 설명했다.
#노근리사건#노근리특별법#희생자보상#노근리트라우마치유센터#이장섭의원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굿모닝충청(http://www.goodmorningcc.com)
민원도우미
민원도우미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는 맞춤형 검색 서비스교육정보안내
교육정보안내다양한 교육정보를 한눈에! 영동 교육정보 안내입니다.전체
정보화교육
평생학습교육
등록된 교육정보가 없습니다.
여성회관교육
등록된 교육정보가 없습니다.
농업교육
등록된 교육정보가 없습니다.
홈페이지바로가기
홈페이지 바로가기영동군 홈페이지를 한번에 바로갈수 있는 바로가기 정보 서비스영동군홈페이지
관과 및 사업소
유관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