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노근리 학살사건을 범위를 넘어 그 희생의 의미와 가치를 알아갑니다.
노근리 '글로벌평화포럼' 개막…노근리-참전용사 유족 만남
[영동=뉴시스] 김재광 기자 = 노근리 사건 70돌 기념사업의 하나로 10일 영동군 노근리평화공원에서 ‘노근리 글로벌 평화포럼’이 열린 가운데 생존자·유족과 한국전쟁 참전 용사 유족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0.11.10 kipoi@newsis.com
[영동=뉴시스] 김재광 기자 = 6·25전쟁이 발발하고 한 달이 지난 1950년 7월 25일. 충북 영동군 황간면 노근리에서 피란길에 오른 민간인 200여명이 미군의 폭격으로 목숨을 잃었다. 6·25가 낳은 비극 중 하나인 노근리 양민학살 사건이다.인민군의 공격에 밀려 후퇴하던 미군이 항공기와 기관총으로 쌍굴다리에 몰려든 피란민들을 무차별 공격해 민간인 사상자를 낸 슬픈 역사다.노근리 사건 70돌을 기념해 10일 영동군 노근리평화공원에서 ‘노근리 글로벌 평화포럼’이 열렸다. 생존자 및 유족과 한국전쟁 참전 용사 유족 등이 한자리에 모여 한국 전쟁의 아픔과 상처를 보듬는 특별한 만남의 자리가 마련됐다. 양해찬(80) 노근리 유족회장 등 유족은 한국전쟁 참전용사 유족인 조르자 레이번(72) 부부와 한국전 참전용사 에드워드 포니 대령의 손자 에드워드 네드 포니와 만났다. 조르자 레이번씨의 아버지는 1950년 8월 미 2사단 1대대 소속으로 경북 왜관 낙동강 전투에 참전한 고(故) 제임스 호머 엘리어트 중위(당시 29세)다.정부가 주최한 6·25 전몰 미군 유족 관련 행사에 초청됐던 레이번씨는 "노근리를 찾아 희생자를 애도하고 싶다"는 뜻을 전달하면서 노근리 유족과 만남이 성사됐다.레이번씨는 "노근리 사건은 우리 모두가 잊어서는 안될 비극"이라며 "희생자와 유족들에게 이런 일이 발생한 것에 대해 진심으로 미안한 마음을 전하고 유감을 표한다"라고 말했다.
[영동=뉴시스] 김재광 기자 = 노근리 사건 70돌 기념사업의 하나로 10일 영동군 노근리평화공원에서 ‘노근리 글로벌 평화포럼’이 열린 가운데 유족과 한국전쟁 참전 유족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2020.11.10kipoi@newsis.com
민원도우미
민원도우미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는 맞춤형 검색 서비스교육정보안내
교육정보안내다양한 교육정보를 한눈에! 영동 교육정보 안내입니다.전체
정보화교육
평생학습교육
등록된 교육정보가 없습니다.
여성회관교육
등록된 교육정보가 없습니다.
농업교육
등록된 교육정보가 없습니다.
홈페이지바로가기
홈페이지 바로가기영동군 홈페이지를 한번에 바로갈수 있는 바로가기 정보 서비스영동군홈페이지
관과 및 사업소
유관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