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음악의 멋과 향기를 느끼고 몸과 마음에 여유를 지닙니다.
조(調)라는 말은 국악에서 다양하게 쓰인다. 평조 ·계면조 등과 같이 ‘선법’의 의미로 쓰이기도 하고, 남도조(南道調)와 같이 지역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런가하면 서양음악의 조(Key)와 같은 뜻으로도 쓰인다. 여기서는 Key를 뜻하는 조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악학궤범(樂學軌範)』에 의하면 국악에 다음과 같은 7개의 조(七調)가 있었다.
구분 | 본래이름 | 우리말이름 | 율명 | 서양음명 |
---|---|---|---|---|
낙시조(樂時調) 또는 평조(平調) |
일지(一指) | 한가락 | 夾鍾·姑洗 | G♭, G |
이지(二指) | 두가락 | 仲呂·蕤賓 | A♭,A | |
삼지(三擔) | 세가락 | 林鍾 | B♭ | |
횡지(橫指) | 빗가락 | 夷則·南呂 | B, C | |
우조(羽調) | 횡지(橫指) | 빗가락 | 夷則·南呂 | B, C |
우조(羽誤) | 웃조 | 無射·應鍾 | D♭ | |
팔조(八調) | 팔팔조 | 黃鍾 | E♭ | |
막조(激調) | 막막조 | 大呂·太簇 | E, F |
『악학궤범』에서는 7개의 조를 둘로 나누어 높은 조를 우조(羽調)라 하였고, 낮은 조는 낙시조(樂時調)라 하였는데, 낙시조는 곧 평조(平調)로 이름이 바뀌었다. 조(調)의 이름에도 평조(平調)가 있고, 선법 이름에도 평조가 있어 혼동의 여지가 있으니 주의하여야 한다. 빗가락이라는 우리말 이름으로 불리던 횡지(橫指)는 경우에 따라 우조에 속하기도 하고, 때로는 낙시조에 속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는 위의 7조 가운데서 평조에서는 삼지(세가락)가 많이 쓰였고, 우조 가운데서는 팔조(팔팔조)가 많이 쓰이게 되었다. 따라서 조선 후기에는 임종을 으뜸음으로 삼는 조를 평조라 하고, 황종을 으뜸음으로 삼는 조를 우조라 부르게 되었다.
지금도 정악(正樂)에서는 평조는 임종(B♭)을 중심음으로, 우조는 황종(E♭)을 중심음으로 삼는 조를 가리키며, 이 두 가지의 조가 가장 널리 쓰인다. 우조와 평조의 두 가지 조로, 평조와 계면조의 선법을 오선보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민속음악의 조는 악곡에 따라 다양하지만 산조와 경기민요를 비교하면 산조의 경우 대부분 C를 본청으로 연주하며 경기민요는 E♭ 을 본청으로 연주하는 경우가 많다.
출처
민원도우미
민원도우미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는 맞춤형 검색 서비스교육정보안내
교육정보안내다양한 교육정보를 한눈에! 영동 교육정보 안내입니다.전체
정보화교육
평생학습교육
여성회관교육
등록된 교육정보가 없습니다.
농업교육
등록된 교육정보가 없습니다.
홈페이지바로가기
홈페이지 바로가기영동군 홈페이지를 한번에 바로갈수 있는 바로가기 정보 서비스영동군홈페이지
관과 및 사업소
유관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