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와 문화가 함께하는 관광도시 영동으로 떠나보세요
19세기 후기에 건축된 집으로 상당히 넓은 터전을 차지한다. 집 뒤쪽 길가에 서서 바라보면 맞담을 쌓은 길이가 꽤 길게 이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ㄱ자형 안채와 광채가 널찍이 둘러앉아 전체적으로는 튼ㅁ자 모양을 이룬다. 그러나 이것은 안살림에 해당하는 부분일 뿐, 바깥살림에 해방하는 외부공간은 많이 변형되어서 그전체적인 원형은 알 수 없다.
전통가옥의 굴뚝은 아궁이의 불을 빨아들이는 기능과 연기를 배출하는 기능을 하게 되는데, 취사와 난방을 위해 아궁이에서 지핀 불은 방고래를 지나서 굴뚝으로 배출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굴뚝은 지방마다 그 지역적 특색이 있는 바, 추운 지방은 굴뚝이 높고 아래지방으로 내려오면서 그 높이는 점차 낮아지는 양상을 보이며 우리나라 전통건축에 없어서는 안될 만큼 중요한 기능을 하는 장치이다.
굴뚝은 기능의 가치로서도 그렇지만 그 가치를 넘어서 빼어난 조형성을 갖추기도 한다. 최고의 아름다움과 조형성을 지닌 굴뚝은 단연 자경전의 십장생 꿀뚝으로 꼽으며 세계에서 그 유래를 찾아 볼 수 없을 만큼 독특하다. 이 굴뚝은 보물 제810호로 지정될 만큼 그 조형성과 장식성이 빼어나며, 굴뚝의 기능을 충실히 하면서 꽃 담장으로서의 조형미도 살려 조선시대 궁궐 굴뚝 중 가장 아름답다는 평을 받고 있다.
자경전의 굴뚝을 비롯하여 우리나라의 굴뚝은 그 종류가 다양하다. 속이 빈 통나무를 이용해 만든 통나무 굴뚝과 밑둥이 없는 질항아리를 여러 개 포개어 만든 질항아리굴뚝, 기와조각과 황토를 재료로 만든 와편굴뚝, 자경전 굴뚝과 같이 건물의 모양을 본뜬 굴뚝 등 그 종류와 형태만 해도 다양하다. 그중 ‘와편굴뚝’은 기와편을 벽돌처럼 쌓으면서 황토를 바른 지붕 마감재로 기와가 많이 사용되는 사찰에서도 많이 볼 수 있다.
규당 고택의 안채 뒤뜰에 가면 이와 같은 와편굴뚝을 볼 수 있다. 높이 약 1m, 둘레 1.2m 정도 규모인 이 굴뚝은 4개의 면을 가진 정사각기둥의 형태이며 굴뚝 꼭대기는 연가(煙家)를 얹어 눈비가 굴뚝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고 있는데 ‘연가’는 굴뚝 꼭대기를 한옥의 기와지붕처럼 장식한 것을 말한다. 이 가옥의 연가는 건물과 마주보는 쪽은 높이를 높이고 그 반대편은 높이를 낮추어 비가 바깥으로 흘러 내려가도록 하고 있으며 암기와 6장과 수키와 2장을 이용하여 얹었다.
전통적 수법에 따라 기능성을 살리면서도 조형성을 살려 한껏 멋을 내고 있는 이 가옥의 키 작은 굴뚝은 양반가옥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굴뚝이지만 지방마다 집집마다 그 크기와 모양이 천차만별이어서 전통가옥 답사 시에 빼놓지 않고 찾아 볼 것들 중의 하나이다. 톡히 연가의 모양은 더욱 다양하다.
전통건축물의 형식을 따지는데 있어서 건물이 전체적으로 어떤 모양을 하고 있는지를 구분하여 그 특성별로 구분하곤 한다. 건물의 형태에 따라 一자집, ㄱ자집, ㄷ자집, ㅁ자집 등으로 나누는 것이 대표적인 건물형태 분류법이다.
송재휘가옥은 19세기 후기에 지어진 집으로 송재문 가옥과 같이 매우 넓은 터에 지어진 집이다. 엣날에는 더 많은 건물이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남쪽은 텃밭으로 쓰고 있고 터의 반쪽남짓은 ㄱ형의 안채와 광채가 넓은 마당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방향으로 놓여있다. 이처럼 마당을 사이에 두고 ㄱ자집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놓여 있어 건물이 마당을 빙 두르고 있는 형태를 두고 튼 ㅁ자 모양을 한다 하여 사방이 빈틈없이 막혀 외부와 완전히 차단 된 ‘ㅁ자집’과 구별하고 있다.
규당 고택의 안마당에 들어서서 안채와 광채를 둘러본다면 ‘튼 ㅁ자집’이 무엇이고 ‘ㄱ자집’은 어떤가에 대해 한눈에 알 수 있으니 눈여겨보기 바란다.
또 이 가옥의 안채는 팔작지붕을 하고 있고 광채는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지붕의 형태가 건물의 격을 나타내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하니 집주인의 생활공간인 안채와 광채를 보아도 격의 차이나 눈에 띈다. 설명하자면 보통 팔작지붕이 상위, 우진각지붕이 중위, 맞배지붕이 하위 등으로 격식을 따진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건물을 들인 방향이 정남향이 아니고 서북쪽에서 남동쪽으로 건물을 들였는데 안채의 구조는 서북쪽으로부터 부엌, 안방, 웃방, 2칸 대청과 건넌방을 일직선상에 들이고 남서쪽으로 꺽이면서 작은사랑방, 사랑대청, 아랫사랑방과 윗사랑방 등으로 건물이 구성 되어 있다. 그리고 광채는 총 11칸의 규모로 2칸의 부엌과 한칸씩 방 3칸을 들이고 나머지는 광채로 쓰고 있다.
안채와 광채 모두 지붕 용마루와 내림마루, 추녀마루 등의 끝을 특히 눈에 띄게 치켜 올려 눈길을 끄는데 이는 남도식 민가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건물 전면에 걸쳐 남도방식의 건축 수법이 많이 눈에 띄는 건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 건물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눈꼽째기창’이다. 눈꼽째기 창은 문이나 창에 다는 아주 작은 창을 말하는데, 작은사랑방 문 옆의 벽면에 눈꼽째기 창이 달려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문이 아닌 벽면에 이러한 창을 내는 경우는 흔치 않게 더러 있다. 궁금한 것은 이 창의 용도이다. 이 창은 안에서 바깥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문고리가 안에 나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안에서 바깥을 살필 때 큰 문을 열지 않고, 작은 창을 통해 바깥을 살필 수 있는 편의성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 창은 겨울철 방문을 열게 되면 찬 공기로 인해 보온성이 떨어지므로, 이 창을 이용하여 열 손실을 최대한 막고자 하는 기능도 창 설치의 목적 중 하나이다.
눈꼽째기창의 크기는 창에 얼굴을 내밀고 사진을 찍는다면, 명함판사진에서 어깨는 생략되고 얼굴만 간신히 나옴직한 크기이다.
본 글은 영동 규당 고택의 특정적인부분을 중심으로 소개하였기 때문에 전체 건물을 소개하지 못했다. 이 글(규당 고택에 대하여)을 포함하여 성위제 가옥, 소석 고택, 김참판 고택 등의 답사기를 모두 읽고 지식을 쌓는다면, 달리 설명을 하지 않아도 소개되지 않은 건축물에 대한 이해에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답사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송재문 가옥에 게시되고 있는 문화재 안내판의 내용과 함께 찾아가는 길을 약도와 함께 제공하였다.
포토갤러리
지도
영동교사거리에서 경부고속도로 영동나들목 방면으로 0.62km 진행 → 경부선철도 굴다리 통과 후 나오는 삼거리에서 좌회전 후 0.24km 진행 → 삼거리에서 직진하여 금리 마을회관 앞 삼거리 까지 0.37km 진행 → 마을회관 인근 주차 후 마을을 향해 약 50m 도보로 목적지 도착
민원도우미
민원도우미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는 맞춤형 검색 서비스교육정보안내
교육정보안내다양한 교육정보를 한눈에! 영동 교육정보 안내입니다.전체
정보화교육
평생학습교육
등록된 교육정보가 없습니다.
여성회관교육
등록된 교육정보가 없습니다.
농업교육
등록된 교육정보가 없습니다.
홈페이지바로가기
홈페이지 바로가기영동군 홈페이지를 한번에 바로갈수 있는 바로가기 정보 서비스영동군홈페이지
관과 및 사업소
유관기관